2025/07/02 3

CBDC와 사회복지 시스템 – 기본소득 실현을 위한 디지털 재정 인프라

복지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와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현대 복지 시스템은 수십 년 전 아날로그 시대에 설계된 구조를 아직도 유지하고 있다.현금 기반 지급, 복잡한 수급 요건, 신청자의 문해력에 의존하는 절차는 많은 국민들이 정당한 복지 혜택을 누리지 못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특히 기본소득 제도는 다양한 국가에서 실험되었지만, ‘지급 방식의 비효율성’, ‘부정 수급’, ‘재정 추적 불가’ 등의 이유로 완전한 제도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이런 구조적 문제 속에서,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는 복지 정책의 지급·사용·감시·효율성 전 과정을 정밀하게 디지털화할 수 있는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CBDC는 특정 사용 조건, 기간, 장소를 설정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기능을 지녔으며, 정부가 개인의 디지털 지갑으로 ..

CBDC가 여행산업과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 글로벌 소비자의 새로운 결제 방식

글로벌 여행이 회복세를 넘어서 활황기로 진입하고 있다.2024년 기준으로 국제선 항공 수요는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했으며, 2025년에는 여행객 수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이런 가운데, 여행 산업과 밀접하게 연결된 분야가 바로 외환시장과 결제 시스템이다.해외여행 중 발생하는 주요 불편 요소는 환전, 수수료, 통화 단위 차이, 현지 결제 환경 미비 등에서 발생한다.관광객은 때로는 환율을 몰라 손해를 보거나, 신용카드 사용 시 높은 해외 수수료에 불만을 갖는다.이런 현실 속에서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는 국경을 초월한 실시간 결제, 수수료 없는 외환 교환, 디지털 지갑 기반 소비 경험을 가능케 하며글로벌 여행자의 결제 경험을 근본적으로 바꿀 잠재력을 지닌다.이 글에서는 ..

CBDC와 로컬 커뮤니티 – 지역화폐의 진화인가, 대체인가?

전국 곳곳의 지자체들은 지역 내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 지역경제 순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지역화폐(로컬커런시)를 운영하고 있다.한국의 경우에도 경기지역화폐, 전북지역상품권, 강원페이 등 다양한 지역화폐가 전자카드, 모바일 앱, 지류 상품권 등 여러 방식으로 발행되고 있다.그러나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의 도입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이러한 지역화폐가 향후 어떤 형태로 변화하거나 대체될 수 있을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점차 커지고 있다.CBDC는 프로그래머블한 구조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업종·기간에 사용 제한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역화폐와 유사한 기능을 보다 정교하게 구현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제공한다.이 글에서는 지역화폐의 역할과 한계를 짚어보고, CBDC가 지역화폐를 어떻게 진화시..